[인생(人生)의 향기(香氣)와 멋]
나도 늙어 가는지 밖으로 돌렸던 눈길을 요즘은 내안으로 거두어들이고 있다. 그리고 삶의 진실(眞實)을 내 마음과 몸에서 찾으려고 한다. 자다가 내 기침소리를 듣고 깨어나 좌정(坐定)을 하고 기침이 잦아질 때를 기다리면서 이 일 저 일 지나온 세월(歲月)을 헤아린다.
둘레의 고마운 은혜(恩惠)속에 살아오면서 내 자신(自身)은 과연 그런 은혜(恩惠)에 얼마만큼 보답(報答)을 하고 있는지 되돌아본다. 그리고 내게 허락(許諾)된 시간(時間)의 잔고(殘高)가 얼마쯤 남아있는 지도 생각해 본다. 나는 기침으로 인한 한밤중의 이 좌정(坐定)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면서 오히려 즐기고 있다.
별처럼 초롱초롱한 맑은 정신(精神)으로 내 자신(自身)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때로는 등잔(燈盞)을 켜 읽고 싶은 글을 뒤적거리기도 한다. 한낮의 정진(精進)보다는 한밤중의 이 깨어 있음에서 나는 삶의 투명(透明)한 기쁨을 누리고 있다. 기침이 아니면 누가 이 밤중에 나를 깨워줄 것인가? 이래서 기침에게도 때로는 감사(感謝)하고 싶다.
이와 같이 늙어감이란 둘레의 여건(與件)이나 사물(事物)을 거부(拒否)하지 않고 순순히 받아들임이다. 언젠가는 이다음 생(生)의 시작(始作)인 그 죽음까지도 순순히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자연계(自然界)에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四季節)이 있듯이 우리들의 인생(人生)에도 사계절(四季節)이 있다.
그러나 자연계(自然界)와 다르다면 우리들 삶에는 개인(個人)의 의지적(意志的)인 노력(努力)에 따라 그 사계(四季)가 순환적(循環的)이지만 않고 동시적(同時的)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육신(肉身)의 나이를 의식(意識)하지 않고 무슨 일이건 그것이 삶의 충만(充滿)이 될 수 있다면 새로 시작(始作)하는 그때가 바로 그 인생(人生)의 씨를 뿌리는 봄일 것이다.
내가 아는 올해 85세(歲)인 어떤 학자(學者)는 불교(佛敎)의 원형(原形)을 알고 싶어 '산스크리트어'를 배우고 있다. 또 어떤 분은 정년(亭年) 퇴임(退任) 후 대학원(大學院)에 들어가 평소(平素) 배우고 싶었던 분야(分野)를 공부하고 있다. 금년 90세인 한 할머니는 지금도 벼루에 먹을 갈아 붓으로 또박또박 경전(經典)을 베끼는 일로 자신(自身)을 닦아나가고 있다.
육신(肉身)으로는 인생(人生)의 황혼기(黃昏期)에 들어선 이분들을 어떻게 파장(波長)의 인생(人生)이라고 밀어 낼 수 있겠는가? 살줄을 아는 사람은 늙어감에 따라 그의 인생(人生)도 잘 익어 향기(香氣)로운 열매처럼 성숙(成熟)하게 된다.
사람은 나이를 먹을수록 그 나이만큼 성숙(成熟)해져야 한다고 주장(主張)해온 바이지만 내 자신(自身)은 과연 성숙의 길로 가고 있는지 스스로 묻고 되돌아본다. 사람은 누구나 세월(歲月)의 물결에 실려 늙는다. 늙음은 지극(至極)히 자연(自然)스러운 생명(生命)의 흐름이다.
나이를 먹을수록 정정(亭亭)한 나무처럼 그 기상(氣像)과 아름다움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수많은 세월(歲月)속에서 터득한 삶의 운치(韻致: 고상하고 우아한 멋)를 지닐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그 인생(人生)의 향기(香氣)와 멋이다. 당신은 자신(自身)의 인생(人生)에 어떤 운치(韻致)와 멋을 가꾸고 있는가?
삶의 운치(韻致)와 멋을 지닌 사람들이 사는 곳이 바로 아름다운 세상(世上)이 아닐까?..
[삶과 죽음, 그리고 늙음에 대하여]
삶과 죽음, 그리고 늙음에 대하여 무엇이 삶이고, 무엇이 늙음이고, 무엇이 죽음인가? 현재(現在)의 행복(幸福)에 최선(最善)을 다함이 삶이요, 이러한 삶이 오래되어 편(便)해짐이 늙음이요, 영원(永遠)히 쉬는 것이 죽음 이라면 틀린 말일까?
사람들은 모든 면에서 양면성(兩面性)을 지닌다. 생(生)과 사(死)에 대해서도 그렇다. 어떤 사람들은 살기 위해서 발버둥치고 또 어떤 이들은 쉽게 죽어 버리려고 한다. 한편 젊은이들은 젊고 아름다운 것을 좋아하며, 늙고 쭈글쭈글하고 볼품없는 것은 싫어한다.
그러나 우리 모두는 언젠가는 늙고 병(病)들어 죽게 마련인 것이다. 인간(人間)들 외에도 모든 생물(生物)은 열매를 맺는다. 벼 이삭도 쌀을 맺으면 그 줄기와 이파리는 누렇게 시들고 볼품없어지는 것이다. 사과나무도 사과를 영글게 할 무렵이면 그 이파리는 벌레 먹어 흉(凶)한 모습이 된다.
사람도 이와 같이 그 열매 곧 아들과 딸을 장성(長成)시키면 늙고 병들어 볼품없는 모습으로 변해가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形像)은 지극(至極)히 당연(當然)하고 자연(自然)스러운 것이며 우리는 그와 같은 모습에 오히려 존경심(尊敬心)을 가져야 한다.
늙고 추(醜)하게 변해가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또한 죽음을 두려워해서도 안 된다. 늙으면 쉬게 되는 것이고 죽는다는 것은 있던 것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영혼(靈魂)과 육체(肉體)가 분리(分離)되기 때문에 더 편(便)히 쉬게 되는 것이다.
인생은 배를 타고 강(江)을 건너가는 것과 같으며, 강 저편에 닿으면 배를 버리고 뭍으로 올라가서 마을로 걸어 들어가는 것이다. 육신(肉身)은 버리고 가야만 하는 배요, 영혼(靈魂)은 마을로 들어가는 나그네인 것이다. 그 나그네는 거기서 영원(永遠)히 사는 계속적(繼續的)인 존재(存在)인 것이다!!..
출처:이지데이 좋은글...[펌]
신부가 이쁜만큼 (0) | 2017.03.10 |
---|---|
나 훗날에 (0) | 2017.03.09 |
세상에 치명적인 절망은 없다 (0) | 2017.03.09 |
장수하는 15가지 비결 (0) | 2017.03.09 |
삶이 힘들때 (0) | 2017.03.09 |
댓글 영역